이슈종목

25년04월03일(목)[이슈종목]동진쎄미켐

isudu 2025. 4. 3. 21:24
728x90

동진쎄미켐의 투자 관점은?

반도체 밸류체인에 있는 동진쎄미켐을 소개한다는 목적이에요.
동진쎄미켐은 회장의 별세 소식 이후 주가가 상승했으며, 이를 계기로 투자 판단을 독려하고 있죠.
주가가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차익 실현 매물이 나와 20일선에서 테스트를 진행 중이에요.
현재 상황에서의 투자 기회를 강조하며, 장기적인 상승 추세에 대한 가능성을 제언하고 있죠.
PR 소재의 중요성과 동진쎄미켐 역할은?
동진쎄미켐은 반도체 노광 공정에 필수적인 PR(포토레지스트) 소재를 제조하는 기업이에요.
PR(포토레지스트)는 빛에 노출되면 성질이 변하여 노광 공정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적인 역할을 하죠.
반도체 공정에서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감광액을 도포하고 포토 마스크를 이용해 레이저를 쏘아 회로 모양을 형성하죠.
회로 모양에 따라 산화막을 식각하는 과정을 거쳐 PR을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해요.
동진쎄미켐은 발포지 사업에서 반도체 소재로 전환하여 국내 매출의 절반이 PR에서 발생하는 만큼 이 분야에 진심을 다하고 있죠..
CMP 슬러리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동진쎄미켐은 랜드에 사용되는 KRF 소재에서부터 디램에 적용되는 ARF, ARFI, 그리고 차세대 EUV PR까지 확장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요.
이 회사는 주요 반도체인 디램, 랜드, 파운드리 등 전반에 걸친 제품 포트폴리오를 형성하고 있죠.
CMP 슬러리는 HBM, TSV 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TSV 공정에서 정밀한 구멍 뚫기에 필수적이에요.
백사이드 파워 딜리버리 네트워크는 반도체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공정으로, 전력선을 트랜지스터 후면에 배열하여 신호 간섭을 줄여주죠.
이 공정은 특히 얇고 선단화된 반도체 회로에서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었답니다..

동진쎄미켐 투자 전망은 어떤가요?

동진쎄미켐 외에도 CNP 슬러리와 관련된 다양한 기업들이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성장성을 공부해보는 것이 유익할 것으로 보요.
2023년 상반기까지 주요 랜드 제조업체들이 감산할 것이 예상되며, 하반기에 랜드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죠.
삼성 파운드리 가동률 회복은 관련 밸류 체인 기업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동진쎄미켐도 그에 따른 수요 증가가 기대된다고 해요.
미래에 CNP 슬러리가 HBM 공정과 백사이드 파워 딜리버리 네트워크에서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동진쎄미켐이 수혜를 입을 수 있다고 하네요.
동진쎄미켐의 ROE는 경기 상황에 따라 변동하지만, 평균적으로 10% 후반에서 20% 사이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대 20배의 PER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죠..
동진쎄미켐의 IR 활동이 부족한 이유는?
궁금한 사항은 회사에 전화하거나 IR 부서에 문의하면 기밀 사항이 아니면 대부분 답변을 받을 수 있어요.
미국 회사에도 이메일을 보내는 등 적극적으로 IR 활동을 활용하려 하지만, 이 회사는 전화 응대조차 잘 되지 않아 IR 활동이 미흡하다고 평가받고 있죠.
IR 부족은 디스카운트 요인이 될 수 있으며, 개인적으로는 15배 이상의 멀티플을 안 주려고 해요.
EPS 전망치에 따라 주가를 평가하고 있으며, 멀티플의 급격한 상승은 기대하지 않기를 권고하죠.
동진쎄미켐은 3대 반도체 소재 기업 중 하나로서 높은 마진과 ROE를 자랑하지만, IR 부족으로 인해 편중된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있어요..